중심어 | 나노센서 | 정밀 기계전자 | 인지공학 |
---|---|---|---|
광단층영상 | 자기나노입자 | 다광자 영상 | |
생체소자 | 인지신호센서 | 뇌-기계 연동 | |
지원분야의 중요성 (미래가치) | - 인지메카트로닉스 공학이란 나노센서, 정밀기계전자, 생체적합소자 및 대용량 정보 전송을 기반으로 생체의 인지반응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인간의 인지능력이해와 향상을 도모하는 Nano-Bio-Info-Cogno (BNIC) 융·복합 시스템화를 목표로 하는 학문임 - 동남권은 부산 중심의 기계 수송 정밀 부품 산업, 마산-창원-울산의 메카트로닉스 산업, 김해-양산의 의생명산업 및 밀양의 나노융합산업단지 등 NBIC 융복합 인지메카트로닉스 분야의 거대 산업 기반이 구축되어 있으며, 전통적 기계분야가 중심이 되는 산업에서 미래형 첨단 기계 시스템으로 급변하는 전환점의 시기를 맞이함에 따라 석·박사급 전문 인력의 수요와 일자리가 증대 중임 - 미래형 인지메카트로닉스 분야의 경쟁력 있는 석박사급 글로벌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세계적 수준의 연구를 주도하는 해외석학과의 긴밀한 공동연구 및 공동교육이 필요하며,본 사업단은 2009년 대학 차원의 최고 수준의 교수진 선발을 통해 신설되어 지난 5년간의 지역 유일의 WCU(World Class University)사업단과 BK21+ 글로벌인재양성형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장기간 축적한 국제 공동 교육의 노하우와 공동 연구의 성과, 축적된 세계적 수준의 첨단 기자재 및 고가장비를 계승하여 성과를 창출하는 것이 최적의 방안임 - 지역 거점 대학의 유일한 글로벌 인재양성형 사업단으로서 2단계 사업을 통해 세계적수준의 첨단 교육과 연구를 주도함으로서 동남권에 산재되어있는 전문가 연구진들과 수요 기업들의 상호연계 네트워크 구축의 허브 역할을 통해 지역 경제의 고도화 및 미래성장을 이끄는 역할 수행이 기대됨 |
||
사업 목표 | - 2020년 세계 Top20 수준의 인지 공학 대표 학과로의 육성을 목표로 교육역량영역과 연구역량영역으로 사업목표 설정 - 교육역량의 강화를 위하여 BK21+ 사업단의 국내 11명의 교수진이 세계적 수준의 해외학자 10명과 공동교육환경을 구축하고 융합교육체계를 계승하여 지역산업계와 연계된 연간 석사30명 박사15명의 최고급 인재양성 교육목표 설정 - 연구역량강화를 위하여 11명의 학과교수 전원이 본 사업단 참여하여, 세계 최고 수준의 Nature급 학술지 논문 5편, 세계 최초 인지영상기능 광학 이미징 분야 원천 특허5건, 지역 산업 연계 상용화 연구 및 기술이전 10억원 등의 연구목표 설정 |
||
교육역량영역 | -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: 인지메카트로닉스 융합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공통기초, 심화과정, 응용과정의 3단계 교과과정을통해 NT-BT 및 CT-IT분야의 대학원 강의체계 구축으로 운영 - 인력양성 계획 및 지원방안: 나노과학기술대학 학부과정의 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(연입학정원45명)의 연계통합을 통해 우수 신입생의 안정적 확보 및 학/석/박사통합 교육체계의 구축, 지역 산업체의 추가지원을 통한 지역 수요에 맞는 고급 인재배출의 성공적 진행 - 인력의 연구수월성: SCI학술지 주저자 발표 3건 또는 IF 합계 7.0이상의 졸업요건 강화를 통한 자발적 연구참여 및 해외학술대회발표 고취를 통한 연구 수월성 확보 및 교육과 연구의 상호 연계강화 - 교육의 국제화전략: 첨단연구환경에서 최고급 성과를 지닌 인재 배출을 위하여 BK21+사업 참여 해외석학의 현지 연구실로 장기파견, 해외대학 취득학점 인정체계 구축 및 해외 신진연구인력의 국내 유치/교류 등을 통한 국제적 교육환경 조성 |
||
연구역량영역 | - 사업단의 연구비전 및 달성전략: 한계를 극복하는 나노 융합 인지메카트로닉스 원천기술의 세계 최초 개발을 위해 인지기능 광영상 연구환경구축을 바탕으로 생체/세포단위고도화시스템개발및뇌-기계인터페이스상용화등 융합연구의 효율적 추진 - 연구진 구성의우수성: 지난 2년간 연평균 1인당 논문건수 5.8편, 1인당 논문환산편수1.8편, 1인당 환산보정 IF1.1, 환산논문 1편당 환산보정 IF0.63 급의 국내 최고수준의 연구집단 11명을 부산대 차원에서 엄선하여 구성. 다학제적분야의 교수진들이 '실시간 인지기능 복합영상시스템', '고감도 인지신호센서 및 생체소자 응용기술', '인지신호-기계 연동 인터페이스 및 산업화 기술'의 상호 체계적 3개 세부 연구팀으로 구성. - 연구의 국제화 현황 및 계획: WCU 사업 및 BK 21+ 사업을 통해 세계 수준의 석학들을 중심으로 기구축된 국제 공동연구네트워크에PNU Global Research Lab.을 원격 구축하여 교육 및 연구실력 고도화에 기여하는등의 특화된 연구 국제화 전략추진 |
||
글로벌 역량영역 | - 대학원생 국제교류: 참여대학원생의 연구역량을 세계적 연구대학 수준으로 강화하고자함. 최신 연구동향 파악, 국제적 감각함양 및 연구교류 증진을 위해 연수비용을 전액 지원하여 우수 대학원생을 장단기로 BK21+ 사업에 참여한 해외학자 연구실에 파견한 바 있으며, 이를 추가확대 지원하여 세계적 연구성과를 도출하고자 함 - 외국 대학과의 교육 컨텐츠 교류: 본 사업단은 이미 WCU 사업 및 1단계 BK21+(글로벌인재양성형) 사업을 통해 VCR(virtual class room) 및 OCW(open course ware)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구축하였으며, 54건에 달하는 강의를 부산대학교 OCW 웹페이지(linkus.pusan.ac.kr)에 공개하였고, 이를 향후 정기적으로 추진할 예정임 - 교육 프로그램의 국제화: 외국인참여교수소속대학,해외협력대학및연구소와국제공동연구 및 교육(R&E)프로그램을 구성하여 대학원생, 교수를 상호파견하고 장단기 국제공동연구를확대 추진하고, BNIC 맞춤형 교과과정을 개발하여 전과목 100% 영어강의 실시 및 영어 학위논문100% 작성 실시 예정 - 참여교수 국제화: 관련분야 국제학회 조직위원장 및 프로그램위원장, 저명 학술지의 편집위원 및 심사위원으로 활동하여 국제 학술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, 세계적연구그룹 등과 활발한 국제 공동연구를 통하여 지난 2년간 54편의 SCI 논문을 발표한 바 있어 사업단의 글로벌 역량 강화에 기여함 - 해외참여 교수의 우수성: 본 사업단에는 관련분야의 선도 연구를 수행하는 Z. Chen 교수(UC Irvine, 누적인용지 6600회, h-index 43), M. Gu 교수 (Swinburne Univ., 인용지수 3000회, h-index 25), H.S. Choi(Harvard Univ., 인용지수 약 1800회, h-index 26) 등의 해외석학 10명이 참여시켜 다학제간 공동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international research network을 구축하여 대학원생의 국제교류 및 교육 컨텐츠 개발, 국제공동연구 진행하고자 함 |
||
기대효과 | - 교육부문: 특화된 융합 교육과정의 국내 대표적인 성공 사례가 되도록 추진하여 대학원생의 연구역량 강화 및 취업 경쟁력 강화가 기대됨. 지역대학계의 대표적 최고 융합대학원학과로 육성하여 지역외 또는 해외유학을 대체하여 지역산업과 밀착된 고급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동기 부여 - 연구부문: 분야별 상위 10%급 최우수 논문 중심의 대표적 연구성과를 통해 참여 대학원생 및 신진 연구인력의 연구 역량이 질적으로 강화되어 세계적 수준의 인지 공학분야의 공동연구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세계적 연구허브로 도약이 기대됨 - 국제화부문: 해외석학의 직접 연구지도, 상호학생 연구진 교환, 100% 영어강의 등 BK21+ 글로벌인재양성형 사업의 국제화 성과를 이어받아, 주요 해외저널, 해외학술대회,유수저널 편집진 등 해외인지도 증가를 지속하고 외국대학과의 학점 교류 공동학위심사 등으로 학위과정의 국제화를 주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- 지역사회부문: 본 인지메카트로닉스 우수 연구성과 및 지역 특화된 배출인재를 기반으로 전통 메카트로닉스기업, 지역 연구계가 미래형인지 공학분야로 특화 발전되어 지역 기반 연구역량의 전반적 상향을 이끄는 경제발전의 효과 |